본문 바로가기

학교공시정보 및 입시결과/2024

2024.4 서울 초등학교 지도 | 학폭위 심의 결과 정보

반응형

서울시 초등학교

학교폭력, 더 이상 뉴스로만 보던 일이 아닙니다. 당신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제는 숫자로 확인해야 할 때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서울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 관련 데이터를 정리하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학폭위 심의 건수가 생각보다 많았고, 특정 학교에 몰려 있는 경향도 뚜렷했어요. 요즘 아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은 단순한 싸움이 아니라, 가족, 지역, 심지어 사회 전체가 끼어드는 무거운 문제로 번지고 있더군요. 이 글에서는 2024년 4월에 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2023년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의 심의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서울시 초등학교들의 학폭위 관련 상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 문제의 중요성

학교폭력은 단순한 갈등을 넘어서 사회 전체가 주목해야 할 심각한 문제입니다. 신체적 폭력은 물론, 집단 따돌림, 언어폭력, 성적 괴롭힘까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와 교사, 그리고 지역사회 전체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최근에는 학교 내에서 해결되지 못한 사안들이 법정 싸움으로 이어지면서 교육의 본질이 흔들리고 있죠.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아이는 등교를 두려워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심의 위원회 역할과 필요성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학생 간의 갈등을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해주는 중요한 조직입니다.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에 대한 합리적 조치를 동시에 고민해야 하는 곳이죠. 아래 표는 학폭위의 기능과 실제 역할을 간략히 정리한 것입니다.

구분 내용
심의 대상 학교 내에서 발생한 폭력행위 전반
기능 가해자 징계 및 피해자 보호 조치 결정
참여자 교사, 학부모,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줄여서 학폭위)는 학교폭력 사안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양측의 진술을 듣고, 교육적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식 조직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위원회 권한이 확대되면서 피해자의 전학 요청, 심리치료 권고, 가해자에 대한 특별 교육까지도 논의되곤 합니다.

  •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로 설치 가능
  • 분쟁 발생 시 공식 조사 및 조치 권한 부여
  • 민감한 사안일수록 외부 위원 참여가 확대됨

이번 자료는 2024년 4월 학교알리미 공식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2023년에 일어난 초등학교별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결과를 지도위에 표현하였습니다. 자녀교육을 고민하는 부모님들에게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 📌 **재학생 수 및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건수 및 결과 제공**
  • 📌 **단순한 표 자료보단 지역별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제공**

아래에서 원하는 학교를 선택해 심의건수 및 결과를 데이터를 확인하세요.

 

 
반응형

 

2023년도 서울시 초등학교 지역구별 심의 건수 순위

순위 지역구 심의건수 합계
1 양천구 82
2 강서구 75
3 송파구 72
4 광진구 70
5 강남구 59
6 은평구 58
7 중랑구 52
8 동대문구 49
9 동작구 44
10 관악구 42
11 노원구 41
12 성북구 40
13 도봉구 38
14 구로구 37
15 강북구 35
16 강동구 32
17 마포구 24
18 영등포구 20
19 서초구 19
20 용산구 18
21 서대문구 17
22 금천구 16
22 성동구 16
24 종로구 12
25 중구 7

2023년도 서울시 초등학교 학폭위 심의 데이터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양천구, 강서구, 송파구, 광진구, 강남구 등 인구 밀도가 높고 교육열이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들 지역은 공통적으로 대규모 학교 비중이 높고, 학부모의 민감도도 높아 학교 내 사안이 외부로 빠르게 알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심의 건수 공개와 대응이 적극적인 학교문화가 조성되어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죠.

반면, 중구, 종로구, 금천구처럼 하위권에 위치한 지역은 학교 수 자체가 적거나, 학폭위 운영 방식에 있어 사안이 위원회까지 가지 않고 자체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 건수 자체는 낮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 건수만으로 ‘학교폭력이 많은 지역’을 단정짓기보다는, 신고와 대응 체계가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지 종합적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각 지역의 교육청은 더 정밀한 개입 전략을 설계할 수 있으며,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교를 선택할 때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삼을 수 있습니다.

 

2023년도 서울시 지역구별 초등학생 학폭위 심의 비율 순위

순위 지역구 총 학생 수 심의 건수 학폭위 수 비율
1 광진구 12,248 70 0.57
2 강북구 7,856 35 0.45
3 중랑구 12,964 52 0.40
4 동대문구 12,482 49 0.39
5 양천구 21,032 82 0.39
6 관악구 11,218 42 0.37
7 강서구 22,090 75 0.34
8 동작구 13,279 44 0.33
9 은평구 17,774 58 0.33
10 용산구 5,616 18 0.32
11 도봉구 12,004 38 0.32
12 종로구 4,362 12 0.28
13 송파구 29,492 72 0.24
14 구로구 15,331 37 0.24
15 성북구 17,550 40 0.23
16 강남구 26,239 59 0.22
17 금천구 7,203 16 0.22
18 마포구 12,609 24 0.19
19 노원구 21,541 41 0.19
20 성동구 9,449 16 0.17
21 중구 4,549 7 0.15
22 영등포구 13,146 20 0.15
23 강동구 21,390 32 0.15
24 서대문구 12,413 17 0.14
25 서초구 19,940 19 0.10

학교폭력 상담 및 지원 기관 정보

학교폭력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안전한 상담창구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혼자서 끙끙 앓지 말고, 아래 기관 중 한 곳에 연락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보세요.

기관명 운영 내용 연락처/웹사이트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 24시간 신고 및 상담 가능, 경찰청 운영 www.safe182.go.kr / ☎ 117
서울시교육청 학교폭력 상담센터 학부모 및 학생 대상 전문 심리상담 제공 ☎ 02-1396
청소년모바일상담 앱 '다 들어줄 개' 스마트폰으로 청소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담 앱 구글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 검색
청소년상담복지센터 (CYS-Net) 전국 청소년 대상 심리상담 및 긴급 보호 서비스 www.kyci.or.kr / ☎ 1388

 

마무리

학교폭력 문제는 이제 어느 가정이든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지금 무엇을 보고,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아이들의 내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혹시 이 글을 읽고 계신 학부모님, 교육 관계자님, 아니면 관심 있는 시민분이라면 이 글을 주변에 공유해 주세요. 더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져야 변화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생각도 댓글로 남겨주세요. 우리는 함께 더 안전한 학교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해당 게시글의 링크 공유는 각종 커뮤니티에 허용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4.4 서울 중학교 지도 | 학폭위 심의 결과 요약

학교폭력, 더 이상 뉴스로만 보던 일이 아닙니다. 당신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제는 숫자로 확인해야 할 때입니다.안녕하세요. 최근에 서울시 중학교에서 발생

antworker.tistory.com